함라 한옥마을
'함라'라는 명칭은 주산인 함라산에서 취한 것으로 전해지며,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이 1611년(광해군 3년)에 함라에 유배되어 있는 동안『성수시화』등 여러 작품을 집필한 것으로 알려졌다.
이 마을의 담장은 토석담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, 이 외에도 토담, 돌담, 전돌담 등 다양한 형태의 담이 혼재되어 쌓기 방식으로 축조되었다. 전통가옥들과 마을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묵은 돌담길은 보존상태 또한 양호하다.
돌담길도 볼만한 풍경이지만 전통가옥인 김안균 가옥과 조해영 가옥, 이배원 가옥 등 함라 3부잣집이 있고 마을 한편에
자리한 문화재자료 제85호 ‘함열향교대성전’이 있어 전통마을로써의 품위를 더해주고 있다.
- 담장형태 - 토담길이 약 1,500m의 토석담, 돌담(전형적인 토석담, 일부 전돌담, 판축담)
- 마을형성 - 조선시대 이전 형성, 현 178세대 거주
- 문화재 - 함열향교 대성전(문화재자료 85호) 등 4건
"관람 포인트"
- 함라 3부잣집(조해영 가옥, 김안균 가옥, 이배원 가옥)
- 옛 돌담길
- 한옥마을과 함라 둘레길 연계
관련 이미지
- 장독대 풍경
- 조해영 가옥
- 김안균 가옥
- 이배원 가옥
주얼팰리스에서 찾아가는 길
주얼팰리스→ 미륵사지(9.5km, 승용차 17분)→ 함라 한옥마을(미륵사지로부터 18km, 승용차 30분)
보석박물관 보석교에서 좌회전 후 익산|금마|미륵사지|왕궁 방면으로 우회전(720번 지방도) 4.38km → 금마사거리(금마 검문소)에서 금마|삼기농공단지 방면으로 우회전(금마길) 470m → 좌측방향(금마길) 93m → 사거리에서 함열|미륵사지 방면으로 좌회전(고도길) 3.31km → 미륵사지 → 숭림사|황등 방면으로 우회전(황금로) 3.67km → 간촌삼거리 삼기 방면으로 좌회전(722번 지방도) 1.68km → 하갈교차로 우측방향 1.06km → 서두사거리 부여|웅포 방면으로 좌회전(백제로) 2.47km → 다송교차로 논산|함열 방면으로 우측방향(23번 국도) 42m → 다송교차로 우회전(익산대로) 3.05km → 정동오거리 입점리고분|함열읍사무소|함열초교 방면으로 좌회전(함낭로) 5.37km → 좌회전(함라1길) 117m → 우회전(수동길) → 함라한옥마을
직접 찾아가시는 길
- 호남고속도로 익산IC→ (722지방도)→ 익산시내 방면 5.3㎞→ 금마사거리(금마검문소)우회전 → 금마, 미륵사지 → 함열읍 함열리 함라마을
- 호남고속도로 논산IC→ 강경→ 23번 국도→ 용안면→ 711번 지방도→ 성당리→ 맹산리→ 함열리 함라마을
- 서해안 고속도로 군산IC→ 724 지방도→ 나포→ 웅포→ 함열리 함라마을
주소
- 조해영 가옥 :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수동길 8(함열리)
- 김안균 가옥 :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수동길 20(함열리)
- 이배원 가옥 :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천남1길 13(함열리)
<사진 및 내용출처 : 한국관광공사, 마한백제 문화유산정보시스템>